문신사법은 오는 20일 국회 재상정을 앞두고 있다.
그간 문신사법은 앞서 18대·21대 국회에서도 논의에 속도가 붙었지만의료계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이번 22대 국회에선 여야가 발의한 문신사법안 3개가 지난 1월 복지위 법안심사제2소위에 상정된 뒤.
협회 제공 대한한의사협회가 보건의료계에 남아있는 일제 잔재를 청산해야 한다며 바른 용어 정립을 촉구했다.
18일 협회에 따르면 최근 광복 80주년을 맞아 “‘의사(醫師)’- ‘의료계(醫療界)’라는 명칭은 양의사들만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온 전공의(인턴·레지던트)들에게 정부가 전향적 입장을 보이며 의료공백 사태가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었지만, 복귀 이후에도의료계내분 봉합 등 해결해야 할 과제는 여전한 상황이다.
8일의료계에 따르면 지난달 의과대학생들이 전원 수업 복귀를 선언한 데 이어.
6배 높아진다는의료계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습기살균제 장기사용이 폐암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역학증거가 제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형사 재판에 넘겨져 판결을 받은 의사가 연평균 38명이라는 국책 연구기관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는 연 수백명에 달한다는의료계주장과 거리가 있는 수치다.
보건복지부는 14일 이러한 내용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국민중심 의료개혁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법안에 대응하기 위한 전담기구를 가동했다.
의협은 지난 6일 '비대면진료 및 전자처방전 대응 태스크포스(TF)' 제1차 회의를 열고,의료계입장과 대정부·대국회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13일 밝혔다.
TF는 지난달 30일 열린 제28차 상임이사회에서 운영이 결정.
의료계는 정부가 7일 사직 전공의 복귀 문을 열어준 것에 환영 입장을 밝혔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 전공의협의회 사무실.
이들은 오는 제77차 정기대의원총회에서 ‘의협 주도 비대면 진료 제도 개선’ 수임사항을 바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7일 서울 강남구 상성생명 일원동 빌딩에서 열린 환자·소비자단체 현장 간담회에서 "의료계·정부 갈등으로 불편을 겪은 환자·국민들께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